공주시는 조선중기 문신이자 임진왜란 때 조선의 국운을 걸고 조선통신사 임무를 수행한 창원황씨 공주 지역 입향조 인물인 추포 황신 선생을 12월의 역사 인물로 선정했다고 1일 밝혔다.
1588년(선조 21) 과거에 급제하면서 관직 생활을 시작한 선생은 사헌부 감찰, 전라도관찰사, 공조·호조판서 등 지방직과 중앙직을 차례로 역임하면서 조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특히 임진왜란 때 중요한 임무를 수행했는데 전쟁 초 병조정랑으로 임명돼 병조판서 이항복을 도와 군사 실무를 전담했다.
1594년(선조 27)에는 강화 회담을 위해 일본으로 향하는 명나라 장수 심유경 일행을 따라 조선통신사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일본을 다녀왔다.
당시 사람들은 전쟁 중 일본에 가면 살아서 돌아올 수 없다고 생각하여 모두 조선통신사 임무를 피했는데, 선생은 죽음을 무릅쓰고 조선통신사 임무를 수행했으며 강화를 반대하는 조선의 입장을 당당히 밝혔다.
종전 후인 1601년(선조 34) 스승인 성혼이 비난받자 이를 변호하다가 파직당한 후 공주목 창강으로 낙향했으며, 1605년에는 임진왜란 때의 공이 인정되어 호성공신으로 임명됐다.
1609년(광해군 1)에는 호조판서로 임명되어 전후의 국가 재정을 튼튼하게 만들고 전국적인 양전(量田) 사업을 추진해 토지구획을 정비하는 등 경제 정책에 많은 업적을 남겼다.
1612년(광해군 4) 임진왜란 때 세자인 광해군을 모신 공으로 위성공신 2등에 임명됐으며 회원부원군에 봉해졌으나 1613년(광해군 5) 일어난 계축옥사 때 황해도 옹진에 유배됐으며 1617년(광해군 9) 별세했다.
이후 우의정으로 추증된 선생은 1629년(인조 7) 공주목 창강서원(滄江書院)에 배향됐으며 조정으로부터 문민(文敏)의 시호를 하사받았다.
문집으로는 조선통신사 임무 수행 중 기록한 ‘일본왕환일기(日本往還日記)’와 ‘추포집’ 등이 전해지고 있다.
조병철 문화재과장은 “조선 중기 문신으로 임진왜란 때 조선의 국운을 걸고 조선통신사 임무를 수행한 추포 황신 선생의 삶과 업적을 기리기 위해 12월의 역사인물로 선정했다”며, “12월 중 시민을 대상으로 황신 선생 관련 프로그램을 개최할 예정이다”고 말했다.